Dev/PS

[백준] 1920 수 찾기 java

풋데브 2022. 1. 20. 19:04
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import java.util.Arrays;

public class Main{
        static int A, M;
        static int[] Anums, Mnums;
    
    public static boolean binarySearch(int start, int end, int num) {
        while(start <= end) {
            int mid = (start + end) / 2;
            if(num == Anums[mid]) {
                return true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 if(num < Anums[mid]) {
                end = mid - 1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 if(num > Anums[mid]) {
                start = mid + 1;
            }
        }

        return false;
    }
    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       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        StringTokenizer st;
        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        A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        Anums = new int[A];
       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A; i++) {
            Anums[i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    }
        M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        Mnums = new int[M];
       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M; i++) {
            Mnums[i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        }

        Arrays.sort(Anums);
        /*
        M개의 수만큼 돌면서 이분탐색을 통해 정렬된 A 값들 중에 M값이 있는지 판별
        이 때 시간복잡도는 O(M log A)
        * */
        for (int i = 0; i < Mnums.length; i++) {
            if(binarySearch(0, Anums.length-1, Mnums[i])) {
                sb.append('1').append('\n');
            }
            else {
                sb.append('0').append('\n')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System.out.println(sb);
    }
}

주어진 값에 시간초과를 하지 않으려면 O(N^2)이하로 풀어야 했다.

그렇기 때문에 풀이 방법은 두가지가 있었다.

 

1. 이분탐색을 이용한 풀이

2. map 자료구조를 이용한 풀이

 

나는 1번을 선택해서 풀었다. 시간복잡도는 O(A log M)이다.

 

A배열을 정렬한 후 M의 수들을 이분탐색으로 값이 있는지 찾아냈다. 맵을 사용했다면 코드길이도 짧고 더 간단하게 풀 수 있었지만 이분탐색 구현을 익히기 위해서 이렇게 풀었다.